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의미와 역사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와 역사, 그리고 이 기술이 IT 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클라우드에 대해서 i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 등을 생각하고 있을 텐데, 이에 해당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과거, 현재, 미래를 탐험하며 이 혁신적인 기술이 우리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관리 없이도 온디맨드 방식으로 컴퓨팅 자원(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의 자원을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클라우드 는 구름이라는 뜻인데요 과거 1980년대에는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 단말기 등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다 그리지 않고 구름 모양으로 설명을 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개념을 따와서 구름(cloud)라고 했다고 합니다.
       즉, 클라우드는 구름과 같이 복잡한 내용(컴퓨터 통신망 장비나 네트워스 서버등..) 을 가리고 어디서나 구름 속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할 수 있고, 동일한 환경에서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최근 코로나 때 재택 근무로 근무를 할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사도 많이 생겨났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모식도 출처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81%B4%EB%9D%BC%EC%9A%B0%EB%93%9C_%EC%BB%B4%ED%93%A8%ED%8C%85#/media/%ED%8C%8C%EC%9D%BC:Cloud_computing-ko.svg

       


      클라우드 컴퓨팅의 역사, 과거부터 미래까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은 1960년대부터 등장했지만, 실제 구현과 상용화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961년 존 매카시(John McCarthy)가 "컴퓨팅은 언젠가 공공 유틸리티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고, 1967년 IBM은 가상 컴퓨터 시스템 CP-40을 개발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아마존의AWS의 EC2와 S3 출시, 구글의 GCP과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출시 등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AI, IoT,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발전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다양한 유형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1.  인프라 서비스(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IT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IaaS 서비스로는 아마존 EC2, 마이크로소프트 Azure, 구글 Compute Engine 등이 있습니다.

      2.  플랫폼 서비스(PaaS, 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를 위한 플랫폼을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PaaS 서비스로는 구글 App Engine, 아마존 Elastic Beanstalk, 마이크로소프트 Azure App Service 등이 있습니다.

      3.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SaaS 서비스로는 구글 G Suite, 마이크로소프트 Office 365, 세일즈포스 등이 있습니다.

        조금 자세한 내용은 다른 사이트를 참조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형에 대한 자료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단점

       클라우드 컴퓨팅의 주요 장점은 초기 투자 비용 절감, 신속한 자원 확장 및 축소,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용이성,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접근성, 최신 기술 활용 가능성을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 우려, 인터넷 연결 의존성, 서비스 중단 위험, 벤더 종속성 등의 단점도 존재합니다.

       


      클라우드 메인프레임

       컴퓨터 기술이 점점 발달하면서 일반 컴퓨터 가격은 점점 더 저렴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정반대로 가격이 엄청나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딩 메인프레임'이라는 아이디어가 나왔다고 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하면, 연산 속도만 놓고 보면 오래된 메인프레임과 비교해도 뒤처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은 여러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놓기 때문에, 보안 문제에 특히 취약합니다. 외부에서 침입할 수 있는 접점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와 반대로 메인프레임의 큰 장점 중 하나는 바로 보안과 안정성인데, 은행 같은 곳에서 메인프레임을 많이 쓰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그래서 클라우드 메인프레임을 도입하려고 했다가는 오히려 손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최근에도 금융권이나 공공기관은 내부망을 사용하는 케이스가 많은 것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거래가 많아지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금융기관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거래량을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큰 도움이 되고 있거든요. 특히 이 시기에 인터넷 뱅킹도 엄청난 속도록 급성장 했습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해서 보안적인 문제도 많이 해결되었는지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접근 하고 있다는 거에 세삼 기술의 발전이 많이 느껴집니다.  

      참조> 메인프레임 : 컴퓨터 중에서도 특히 크고 강력한 종류를 말합니다.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이 컴퓨터들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주로 큰 기업이나 은행, 정부 기관에서 많은 정보를 빠르고 안전하게 처리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메인프레임은 마치 대형 슈퍼마켓처럼 많은 데이터와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무리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온 핵심 기술입니다. 이미 잘 사용 하고 있고, 인공지능 ai와 더불어 더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 과정과 미래 전망을 살펴보며, 이 혁신적인 기술이 IT 산업에 미친 영향을 깊이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